728x90
문제 설명
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1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,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 사항
-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,000편 이하입니다.
-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,000회 이하입니다.
입출력 예
citations | return |
[3, 0, 6, 1, 5] | 3 |
입출력 예 설명
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,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.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-Index는 3입니다.
문제 설명이 좀 헷갈리다는 평이 많았습니다. 저도 읽어보고 좀 당황했는데 위키백과 읽고도 감이 안잡히더군요.
구글링 하던 중 좋은 설명글을 찾아 첨부합니다. 이거 보자마자 이해되어서 바로 작성했네요 ㅠㅠ
https://www.ibric.org/myboard/read.php?Board=news&id=270333
작성한 코드
function solution(c) {
c.sort((a, b) => b-a);
let i=0;
while(c[i]>i) {
i++;
}
return i;
}
내림차순 정렬한 뒤 c[i]가 i보다 값이 클때까지만 while문을 돌려주고 반복문이 돌때마다 i++을 해줍니다.
while문이 종료되면 i를 return합니다.
728x90
'ALGORITHM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| javascript (0) | 2021.07.2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소수 찾기 | javascript (0) | 2021.07.19 |
[프로그래머스] 오픈채팅방 | javascript (0) | 2021.07.11 |
[프로그래머스] 1차 비밀지도 | javascript (0) | 2021.07.10 |
[프로그래머스] 하샤드 수 | javascript (0) | 2021.07.10 |